본문 바로가기

의학지식134

길랑바레 증후군, 적절하고 빠른 치료가 중요한 이유 갑자기 팔다리에 힘이 없어져서 병원을 찾았는데, 길랑바레 증후군이라는 생소한 이름을 듣고 많이들 놀라셨죠? 길랑바레 증후군은 드물고 잘 알려지지 않은 병이기 때문에 접하기 쉽지 않으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길랑바레 증후군의 증상,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 적절한 치료가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까지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길랑바레 증후군의 증상 길랑바레 증후군은 급성감염성다발신경염이라고도 불리는 자가면역질환으로 말초신경의 손상에 의한 근무력증이 주증상입니다. 길랑바레 증후군의 초기에는 감각신경의 침범으로 팔과 다리의 무감각이나 저림, 통증 등이 나타나며 점차 운동신경도 영향을 받으며 힘이 약해지게 됩니다. 힘이 점점 약해지면서 증상이 악화되는 시기는 1주-4주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 2022. 9. 28.
폐 간유리음영, 대부분 염증이지만 결절 형태인 경우 꼭 확인하자. 폐 CT에서 간유리음영이 보인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간유리 음영이 어떤 의미인지 몰라서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간유리음영이 어떤 형태로 보이는지, 그리고 간유리음영의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간유리음영 결절의 경우에는 추후 어떤 조치가 필요할지도 알려드리겠습니다. 간유리음영(Ground Glass Opacity)이란? 간유리음영은 CT 촬영에서 보일 수 있는 소견으로 폐 실질의 음영이 증가되었지만, 주변 폐혈관을 완전히 가리지는 않는 음영을 의미합니다. 위의 사진을 보면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왼쪽의 사진이 간유리음영으로 나타난 병변이고, 오른쪽 사진은 경화성 병변입니다. 간유리음영의 경우 경화성 병변보다 덜 하얗게, 흩뿌리는 듯한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주변의 폐혈관들과 병.. 2022. 9. 28.
츠츠가무시증의 모든 것, 생각보다 진단이 쉽지 않은 쯔쯔가무시 가을철이 되면 특별한 이유 없이 오한, 발열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납니다. 그런 경우에는 츠츠가무시증 (쯔쯔가무시)을 의심하게 되는데요, 츠츠가무시증은 생각보다 진단이 쉽지 않은 병입니다. 하지만 이 글을 읽고 나면 어떤 상황에서 츠츠가무시증을 의심해야 하며, 어떤 이유 때문에 이런 병이 생기고 치료는 어떻게 하는지까지 알게 되실 겁니다. 츠츠가무시증 (쯔쯔가무시)은 왜 생길까? 츠츠가무시증은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 (츠츠가무시) 라고 하는 진드기에 의해 생기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을철에 야외활동의 증가와 함께 발병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진드기의 유충에 물린 후 발생하게 되며, 가을철 성묘를 다녀온 후나 잔디밭에서 여가시간을 보낸 후 발열로 내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드기에 .. 2022. 9. 27.
멍 빨리 빼는법 (피멍 빼는법), 찾기 전에 이것부터 확인하세요 멍 들었을 때 보기도 안 좋고, 어떻게하면 빨리 뺄 수 있을까 걱정 많이 되셨죠? 이 글에서 멍 빨리 빼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피멍이 자주 드신다면 꼭 확인해야만 하는, 피멍 빼는법보다 100배는 더 중요한 사실에 대해서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피멍이 자주 든다면 이것부터 확인하세요 피멍은 대부분 타박상에 의해서 생기게 되는데요, 일반적으로 직접 부딪힘에 의해 피부 아래의 모세혈관들이 손상을 입게 되었을 때 피부에 보이는 멍의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피멍을 빼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피멍이 다른 사람들보다 자주 드는 사람이라면 혹시 멍을 잘 생기게 할 수 있는 질환이 본인에게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피멍이 쉽게 드는 질환이나 상태는 아래와 .. 2022.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