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지식

눈떨림 원인 및 체크포인트, 의사가 알려주는 4가지 치료 방법

by 꿈꾸는 의사 2022. 12. 6.

눈 주위가 떨리는 증상은 생각보다 흔하게 발생하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불편감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눈 떨림이 발생하는 원인과 눈 떨림이 발생할 때 확인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눈 떨림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에 대해서도 알려드릴 테니, 꼭 끝까지 읽어보시고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눈떨림-섬네일

눈 떨림 원인

가장 흔하게 알려진 눈 떨림의 원인은 마그네슘의 부족입니다. 마그네슘이나 칼슘 등 성분이 체내에 부족한 경우 신경이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 눈 주위의 근육이 떨리는 것처럼 불수의적인 운동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영양 성분의 결핍 외에도 눈 떨림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눈

충분히 수분 섭취를 하지 못한 경우에도 눈 떨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눈 주위의 근육이 탈수에 의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피로나 과로, 스트레스 또한 눈의 떨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화면을 장시간 들여다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로 인해 눈 근육이 장시간 과도한 긴장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눈 근육의 피로가 누적되어 눈 떨림을 유발합니다.

 

눈꺼풀 떨림이 있을 때 의외로 간과하기 쉬운 원인은 카페인과 알코올입니다. 정확한 기전이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카페인과 알코올 모두 과다 섭취 시에는 눈 떨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이 원인이라고 생각될 때에는 카페인이나 알코올의 섭취를 끊으면 호전되므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사실 위의 원인들에 의해 눈 떨림이 있을 때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절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눈 주위 신경을 침범하는 안면신경질환이나 뇌종양 등 질환에 의해 눈 떨림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그런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야 합니다.

 

 

눈 떨림 시 체크포인트

눈 떨림이 있는 경우, 일차적인 눈 떨림이 아닌 특정 질환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눈 떨림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측성 안면경련 등의 안면신경질환이나 뇌종양 등 질환에서도 눈 떨림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눈 떨림 시 확인해 보아야 하는 체크포인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청진기

첫째, 눈 떨림 시 입 주변이나 볼 등 다른 얼굴 부위도 함께 떨리는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둘째, 눈 떨림 때문에 눈이 저절로 감겨버리는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셋째, 눈 떨림 증상이 한 달 이상 지속되는지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사항들에 해당된다면 단순 눈떨림이 아닌, 눈 떨림을 유발하는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병원을 방문하여 신경전기생리검사나 근전도 검사, 뇌 MRI 검사 등을 통해 눈 떨림에 대한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효과적인 눈 떨림 치료 방법 4가지

1. 눈 떨림의 유발 요인 제거

가장 중요한 것은 눈 떨림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들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카페인이나 알코올 등 눈 떨림 유발 성분의 섭취를 제한하고,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화면을 장시간 바라보는 일 또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와 숙면 또한 눈 떨림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 눈과 얼굴의 마사지

눈과 얼굴 근육을 따뜻한 수건으로 찜질해주고, 주변 근육을 자주 마사지해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마사지는 눈 주변 근육을 풀어주고 긴장을 완화시키는 좋은 방법이므로 눈 떨림이 있다면 지속적으로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눈 영양제 섭취

마그네슘 등 신경전달물질을 포함한 영양제를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영양제를 통해 부족한 영양 성분을 보충해주는 것만으로도 눈 떨림 증상이 감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보톡스 치료

위의 치료 방법들을 사용해 보았는데도 눈 떨림이 지속된다면, 안과나 피부과를 방문하여 보톡스 치료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너무 장시간 증상이 지속되거나 반복적으로 발생해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경우 보톡스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보톡스의 경우 3-4개월 이후에는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지만, 즉시 효과가 나온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댓글